GTX-D 강동구 정차역, 천호역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시작하며

GTX-D 노선이 강동구를 관통하게 되면서, 정차역이 천호일지 고덕일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언뜻 보면 고덕이 입지상 유리해 보이지만, 도시계획과 재개발 흐름을 보면 천호역이 훨씬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특히 천호는 서울시의 생활권 계획에서 교통·고용 거점으로 집중 육성되고 있는 지역으로, 이미 여러 재개발 인허가 사례가 이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시선도 모이고 있습니다.

 

1. 천호와 고덕, 입지와 도시계획 방향은 어떻게 다를까?

(1) 고덕은 신축 중심, 천호는 중심지 역할 강조

강동구 내에서 고덕은 비교적 신축 아파트가 밀집된 지역으로 주거지로서 인기가 높습니다. 반면 천호는 기존 상권과 오래된 주거지가 혼재한 구도심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시의 생활권 계획은 '허름한 곳을 고쳐 중심지로 만든다'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호는 그 계획의 중심에 있습니다.

(2) 도시계획에서 ‘중심지’는 더 큰 개발 유인을 가진다

서울시가 수립한 2030 강동구 생활권 계획에서는 천호·길동 지역을 ‘서울 동부권 교통·고용 거점’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교통 노선 배치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 교통 중심지 → GTX 우선 정차 대상
  • 상업·업무 복합 개발 우선 지역
  • 역세권 활성화 사업 및 정비구역 지정 가능성 높은 지역

 

2. 천호에 집중되는 개발 신호들

(1) 서울시가 천호를 바라보는 이유

서울시는 천호 일대를 단순한 낙후 지역으로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서울 동부의 새로운 중심지’로 성장시킬 의도를 갖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근거들이 있습니다.

📌 천호 길동 지역의 도시계획 키워드

  • 상업·업무 복합지로 육성
  • 비정형화된 토지 정비 대상
  • 역세권 활성화 사업 1호 적용지
  • 도시정비형 재개발 인허가 우선 적용

(2) 역세권 활성화 사업과 종상향 사례

서울시는 천호역과 강동역 일대에 역세권 활성화 사업을 최초로 적용하면서, 일반 주거지를 상업지역으로 ‘일괄 종상향’ 해주는 파격적인 행정 인센티브를 제공했습니다.

📌 실제 사례: 강동역 인근 종상향 사례

  • 2020년 지정: 강동역 역세권 정비구역 지정
  • 2022년 인허가: 3종주거 → 일반 상업지역으로 일괄 상향
  • 용적률 800%, 층수 41층 허가로 개발 밀도 극대화

 

3. 📊 지금 천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5가지

🔍 투자자들이 천호에 주목하는 구체적인 이유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분 내용
1. 도시계획 반영 천호는 서울시가 동부권 중심지로 육성 중
2. 행정 인센티브 역세권 활성화 사업 1호 적용 지역
3. 상업지역 종상향 3종 주거지역 → 일반 상업지역 일괄 전환 사례 다수
4. 개발 확산성 고시문, 인허가 이후 주변지로 확산 중
5. 실제 수익 사례 4억9,000만원 → 13억7,000만원 상승 거래 사례 존재

 

4. 개발 진행 상황을 보면 정답이 보입니다

(1) 서울시의 개발 순서는 ‘낙후 지역 → 중심지화’

서울시는 정형화된 고급지보다, 비정형적이고 낙후된 지역을 먼저 개발하여 균형을 맞추는 방식을 취합니다. 이는 천호가 우선적으로 정차역 후보로 거론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2) 개발 인허가로 본 천호의 가능성

서울시는 천호대로변 재개발을 최우선으로 진행 중입니다. 해당 지역은 상업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이미 수차례 인허가가 진행되었으며, 주변지로도 개발이 연계되고 있습니다.

🔑 핵심 포인트

  • 중심지 내 비정형 토지 → 종상향 용이
  • 역세권 인근 연립주택 → 가격 상승 사례 속출
  • 고시문, 인허가 흐름 → 투자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

 

5. 📌 천호 투자 전 알아두면 좋은 체크포인트

💡 지금 천호에 투자하려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봤습니다.

✔ 천호 투자 체크리스트

  • 생활권 계획 문서 확인 → 천호·길동 지역이 실제로 계획에 포함되었는지 확인
  • 역세권 활성화 사업 구역 고시문 체크 → 현재 어떤 블록들이 인허가 대상인지 확인
  • 비정형 토지 여부 판단 → 도로 좁고 필지 모양이 불규칙한 곳일수록 종상향 가능성 높음
  • 최근 거래 사례 조사 → 2017~2021년 사이 급등한 사례가 존재하는 곳은 다시 주목 대상
  • 도시정비형 재개발 여부 확인 → 강동구청 또는 서울시 도시계획국 자료 활용 가능

 

마치며

GTX-D 강동구 정차역은 단순한 위치 논의가 아닙니다. 서울시 도시계획과 교통 정책, 개발 우선순위가 결합된 결과물입니다. 지금까지의 흐름과 도시정책 방향을 종합해 보면, 고덕보다는 천호역이 정차역으로 유력하며, 투자 관점에서도 훨씬 높은 잠재력을 지닌 지역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입지보다는 도시가 바꾸겠다고 계획한 곳에 투자하는 것이 더 큰 수익을 만들 수 있는 길입니다. 천호는 그런 흐름 속에서 ‘변화가 예고된 지역’임이 분명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롤체 시즌15 영웅 증강 덱 조합 총정리: 메타 핵심부터 아이템까지

레몬수 vs 애사비, 혈당 관리는 무엇이 더 효과적일까

오키나와 고우리섬 원스위트 더 그랜드 리조트 솔직 후기, 조식부터 디너까지

비행기 기종 변경 통보, 좌석도 바뀌는 이유는? 항공사 대응까지 정리